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9)
셀프등기 (공동명의) 서류발급방법 셀프등기에 자신이 붙었다면 공동명의도 알아봅시다. 사실 부동산 등기 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공동명의가 상당 부분 유리합니다. 특히 양도세 부분에서 유리한 면이 있어서 저는 무조건 공동명의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단독명의가 훨씬 유리한 경우도 있습니다.) 공동명의로 등기할 때 서류는 단독명의 보단 조금 더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그래도 나중의 혜택을 생각해서 번거로움은 이겨내고 셀프등기해 봅시다. 매도인 서류는 셀프등기 서류와 동일하지만 매수인 서류는 명의자 각각 필요한 서류가 있으니 잘 챙겨 봅시다. 매도인의 경우 1. 등기권리증 2. 주민등록초본(주소이력포함, 주민번호 표시) 3. 부동산 매도용 인감증명서 4. 인감도장 (위임장에 날인) 매수인의 경우 1. 소유권 이전등..
셀프등기 부동산을 취득하면 등기를 신청해서 내 명의로 주택의 소유자가 바뀌어야 비로소 내 것이 됩니다. 아무리 잔금을 치렀다고 하더라도 서류상 내 것이 아니면 아직 온전히 내 것이 아니므로 잔금을 치르면 제일 먼저 등기신청을 해야 합니다. 보통은 공인중개소에서 잔금일에 법무사를 연결시켜 주시고 정신없는 와중에 서류랑 등기권리증을 넘기면 법무대리인이 알아서 등기를 신청하고 수수료를 받습니다. 대출이 있는 상태라면 셀프등기가 조금 복잡하니 법무대리인에게 위탁하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공인중개사 소개의 법무사 보다 법무통이나 법무픽을 통해 여러 군데 견적을 받아 선택하는 것이 훨씬 저렴합니다. 여러 곳의 견적을 비교하여 신뢰 있고 합리적인 비용을 제시하는 법무사를 선택하세요. 그런데 요즘은 셀프로 등기를 하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하여 19~34세 청년 중에서 (병역복부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 개인 총급여액이 7,500만원(종합소득 6,300만원)이하에 해당하는 가구소득이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이하에 해당하는 사람에게 중장기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단,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제외) 중위소득이란? 보건복지부 장관이 급여의 기준 등에 활용하기 위하여 중앙생활보장위원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말합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1호) 가구원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기준중위소득 (2023년 기준)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180..
LTV,DSR,DTI 예전엔 대출이라고 하면 빚이라고 생각해서 받기도 꺼려지고 조금이라도 받으면 얼른 갚아야 한다는 생각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빚이라는 개념보다 레버리지라는 개념으로 생각이 바뀌게 되었습니다. 대출도 잘만 활용하면 자산증식에 도움이 되고 더 합리적인 선택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대출을 권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자신이 갚을 수 있는 능력만큼의 빚정도를 추천합니다. 영끌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살다 보면 변수가 너무 많거든요. 항상 올바른 선택을 할 수는 없으니 차선책을 만들 수 있을 만큼의 대출을 권해드립니다. 그럼 주택담보대출을 처음 실행하실 분들을 위해 처음으로 접하게 되는 어려운 용어들을 설명해 보겠습니다. 도대체 LTV, DSR, DTI가 뭔지...이런 용어들에 대해서 한번 알아..
취득세란? 동산이나 부동산의 소유물이 생겼을 때 처음 접하게 되는 세금이 바로 취득세입니다. 취득세는 어떻게 부과되는지 부과요율을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개요 원시취득(신축건물이 완공이 되었을 경우)·승계취득( 부동산 취득의 지위를 이어받았을 경우),유상·무상의 모든 취득 행위에 부과하며 거래단계별 납세의무가 성립하는 유통세(소유물의 이전이나 유통에 대해 부과하는 세금)의 성격을 지닌 조세입니다. 과세대상 토지·건축물, 차량, 기계장비, 선박, 항공기, 입목, 광업권, 어업권, 골프·콘도·종합체육시설이용·승마·요트회원권 ※ 토지 지목변경, 과점주주 주식취득, 선박·차량·기계장비 종류변경, 건축물 개수 등의 간주취득에도 과세합니다. 납세자 과세대상 물건을 취득한 자 ※ 등기·등록을 하지 않은 ..